7번재 포스트 입니다.
7번재 포스트에서는 PubMed를 사용하여 기초적인 논문 검색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PubMed란?
PubMed Central(PMC)은 미국보건부(NIH)산하 미국국립의학도서관(NLM)에서 운영하고 있는 바이오의학 및 생명공학분야 디지털 아카이브이다. PMC는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NCBI)에서 제공하는 의학학술지 전문 전자 보존 데이터베이스로 2009년 2월 25일 현재 537종의 영문학술지가 등재되었다. PMC는 미국국립의학도서관에서 설립하여 NIH의 기금 지원으로 생산된 연구성과물의 중앙아카이브로서 생의학, 임상연구분야의 핵심출판물의 관리를 통해 장기적 보존을 담당하고 있다.또한 NIH 연구성과물을 공공접근정책(Public Access Polict)에 의해 전세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PMC는 NIH 공공접근 정책에 의해 연구비 지원을 받은 연구성과 논문으로 학술지 편집위원의 논문 심사를 통과한 최종본과 PMC 학술지표준에 부합되는 것만을 수집하여 제공한다.
즉, 간단히 말해서 PubMed는 바이오의학 및 생명공학분야의 논문을 저장한 곳이라 보면 됩니다.
본격적으로 원하는 논문을 찾아보겠습니다. 간단하게 대장암에 대한 논문을 찾아보겠습니다.
▼NCBI 대문 화면입니다. 검색메뉴에서 PubMed를 선택해주세요
▼이후 원하는 검색어를 적어주세요. 저는 대장암의 한종류인 colon cancer를 적어보았습니다 (영문검색만 지원됩니다)
▼검색어를 적으신후 search를 누루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빨간 테두리가 검색결과입니다.
▼간혹 검색결과에는 아래와 같이 abstract이 존재하지 않아 제목만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Abstract이 없으면 논문제목만 가지고 어떤내용인지 파악해야하기때문에 논문의 전체적인 내용을 알수 없습니다.
따라서 저는 Abstrac이 없는 경우를 검색결과에서 제외시킵니다.
Abstract이 없는 경우는 저자가 허용하지 않았았을경우, 등재 대기중인 경우 등... 다양한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모르겠네요)
▼Abstract이 없는 논문을 제외시켜보겠습니다.
왼쪽의 메뉴에서 Abstract이 있는것만 체크해주시면 자동으로 재검색 됩니다.
간단한 조작으로 검색결과가 99000개에서 77000개로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좀더 논문검색의 정확도가 높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논문을 보기 위해서는 저자가 free로 하지 않는이상 일정료의 구독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하지만 논문을 구독할 여력이 안되는 경우 구독료가 free인 논문을 검색해야 겠습니다.
▼왼쪽 메뉴에서 전과 같은 방법으로 free full text available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중복 선택 가능합니다)
왜 저자들이 Free 로 논문을 올리느냐 물어보실 수 있는데요, 논문을 누구나 열람 가능하도록 인해서 구독해야하는 논문보다는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개되어 지고, 논문을 다수의 사람들이 봐준다면 그 만큼 자기 논문의 인용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서로 윈-윈 하는 구도입니다.
-----------------------------------------------------------------------------------
8번째 포스트 에서는 무료로 열람가능한 논문을 다운받아 보겠습니다.
출처
'생화학 > 생물정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BI-5-DNA sequences 저장하기 (1) | 2013.05.26 |
---|---|
NCBI-4-peptide sequences 저장하기 (0) | 2013.05.16 |
NCBI-3-DNA sequence(DNA 서열) 찾기 (1) | 2013.05.12 |
NCBI-2-protein sequence(단백질 서열) 찾기 (0) | 2013.05.11 |
NCBI-1-대문설명 (0) | 2013.05.09 |